Unknown Names
2024 ㅣ 8m ㅣ Documentary

in Spring Wind Project 2 : Meet comrades again, 87min, 2024



In 2022, the Spring Wind Project chronicled the "Spring Wind Pilgrimage." Now, in 2024, as they face the challenges posed by the Yoon Sukyeol administration's policies, the filmmakers embark on a new collective endeavor. Once again, they connect with those on the frontlines of social struggles, capturing their resilience and determination.


대수산봉, 통한못 그리고 숨골
2024 ㅣ 8m ㅣ Documentary

봄바람 프로젝트 시즌2 : 다시, 바람이 분다


2022년, ‘봄바람 순례단’의 여정을 기록한 봄바람 프로젝트.
2024년, 윤석열 정부의 퇴행적 시간을 마주하며 다시 한번 현장을 잇고, 투쟁하는 사람들을 만나기 위한 공동의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2024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otel K  

2022 ㅣ 6m ㅣ Documentary

in Spring Wind Project - We are here, 114min, 2022



A 40-day pilgrimage interviewing the people acting out at the battle field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residents suffering from nuclear power plants and power transmission towers, part-time workers forced to make sacrifices at their workplace, people excluded from hatred and elimination, people with experiences of repeated disasters in Korean society, people who oppose on military bases and war weapons. The pilgrims and companions embrace each other for a different world.​

Co-produced by 21 media activists on site under the name of “Spring Wind: on-site media project that connects different worlds”  


Hotel K  
2022 ㅣ 6m ㅣ Documentary

봄바람 프로젝트 - 여기, 우리가 있다
전국 곳곳의 투쟁 현장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을 만나기 위한 40일간의 순례. 핵발전소와 송전탑으로 고통받는 주민들, 일터에서 희생을 강요당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 혐오와 배제로 인해 소외된 사람들, 한국 사회에 반복되어온 참사를 겪은 사람들, 군사기지와 전쟁 무기를 반대하는 사람들을 만나며, 순례단과 길동무들은 서로를 보듬으며 함께 다른 세상을 위해 걸어간다.

2022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2022 Seoul Human Rights Film Festival
2022 Women’s Film Festival in Gwangju








Some Queer Bo-ki
2020 ㅣ10m ㅣ HD ㅣ Co-directing with Kkotnarae Bae



Bo-ki is an anti-military base activist living in Gangjeong village on Jeju Island. And she is a lone queer who never stops dreaming of a queer utopia. How can a countryside queer keep practicing her queerness?


Starring                            Bo-ki, Youngju Lee
Director                            Kkotnarae Bae, Sungeun Kim
Producer                          Heayoung Choi
Assistant Director        Yoha Hwang  
Cameras                          Kkotnarae Bae, Yoha Hwang
Editing                              Kkotnarae Bae, Sungeun Kim
Audio                                Sungeun Kim, Youngju Lee
Music Composition     Kkotnarae Bae
Singing                            Youngju Lee
Title Desig                      Kkotnarae Bae
Color Correction         Sungeun Kim                           


섬퀴어 복희
2020ㅣ  10m ㅣ HD ㅣ 공동연출

퀴어적인 장소나 공동체가 없는 시골 퀴어는 어떻게 자신의 퀴어성을 지켜나갈까?

제주 서귀포시 강정동에 사는 복희는 혼자 퀴어다. 퀴어 공동체를 꿈꾸지만 말처럼 쉽지 않다. 코로나19로 올해는 제주퀴어문화축제도 열리지 않고 데이트 어플을 켜도 죄다 아는 사람들뿐이다. 밖으로 나간 복희를 반기는 건 귤나무와 새소리 뿐. 

‘혼자 퀴어, 혼퀴는 과연 가능할까?’ 퀴어 유토피아를 꿈꾸는 시골 퀴어 복희의 로망 달성 프로젝트! 


출연 복희(이미선), 기린(이영주) l 연출 김성은, 배꽃나래 l 프로듀서 최혜영 l 조연출 황요하 l 촬영 배꽃나래, 황요하 l 편집 김성은, 배꽃나래 l 오디오 김성은, 이영주 l 타이틀 디자인 배꽃나래 l 오프닝 작곡 배꽃나래 l 즉흥 연주 및 노래 이영주 l 색보정 김 그래있어


제46회 서울독립영화제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2021 간사이 퀴어 영화제 Kansai Queer Film Festival
2021 Thessaloniki Queer Arts Festival







A Voyeur’s Diary 
2014ㅣ25min ㅣHD


A Voyeur’s Diary is an epistolary experimental film that unfolds as a travelogue and intimate melodrama. A female filmmaker, after failing to complete a pornographic film, repurposes the footage into a letter addressed to her lover. As she reflects on her desires, she realizes that her attempts have estranged her from her own memories, creating a disjointed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self. This disillusionment leads her to abandon both her film and the lover it was meant for.


Director/Producer/Editor                            Sungeun Kim


Thinking Media III, Choong-mu Art Hall gallery, Seoul, Korea, 2013
The Rencontres Internationales, Haus der Kulturen der Welt, Berlin, Germany, 2013
Screening Week, Cruise & Callas gallery, Berlin, Germany, 2013


관음 일기
2014 | 25분 | HD

<관음일기>는 편지 형식의 실험영화이자 여행기이자 멜로드라마이다. 포르노그래픽 영화를 만들고자 했으나 실패한 여성 감독은, 그 촬영 영상을 연인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다시 구성한다. 욕망을 추적하려는 시도가 오히려 자신을 기억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들고, 이미지와 자아 사이의 분리를 낳았다는 자각에 이르게 된다. 결국 그녀는 자신의 창작물뿐 아니라 그 편지가 향한 연인까지 떠나기로 결심한다.